장유마사지 달인아로마
게시판

발해인들의 남긴시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하나라 작성일19-12-19 17:16 조회758회 댓글0건

본문

발해인들의 남긴시










①양태사(楊泰師)
발해 문왕 때의 인물이다. 759년에 발해의 부사(副使)로서 일본에 파견되었다.
사신으로 파견된 양태사는 임무를 마치고 발해로 귀국하기 전, 송별연에서 일본 문인들의 시에 화답하여 두 편의 시를 남겼다.
시의 이름은 각각 '야청도의성'(夜聽擣衣聲), '봉화기조신공영설시'(奉和紀朝臣公詠雪詩)​로, 헤이안 시대 초 칙찬삼집(勅撰三集)중 하나인 『경국집』(經國集)에 올랐다.

⑴ 야청도의성 (夜聽擣衣聲)
霜天月照夜河明
客子思歸別有情
厭坐長宵愁欲死
忽問隣女도衣聲
聲來斷續因風至
夜久星低無暫止
自從別國不相聞
今在他鄕聽相似

서리 기운 가득한 하늘에 달빛 비치니 은하수도 밝은데
나그네 돌아갈 일 생각하니 감회가 새롭네
홀로 앉아 지새는 긴긴 밤 근심에 젖어 마음 아픈데
홀연히 들리누나 이웃집 아낙네 다듬이질 소리
바람결에 그 소리 끊기는 듯 이어지는 듯
밤 깊어 별빛 기우는데 잠시도 쉬지 않네
나라 떠나온 뒤로 아무 소리 듣지 못하더니
이제 타향에서 고향 소리 듣는구나
방망이 무거운지 가벼운지
다듬잇돌 평평한지 아니한지
멀리서 가녀린 몸에 땀흘리는 모습 측은히 여기며
밤 깊도록 옥같은 팔로 다듬이질 하는 모습 보는 듯하네
나그네에게 따뜻한 옷 지어 보내려고 하는 일이지만
그대 있는 방 찬 것이 먼저 걱정이구려
비록 예의 잊어 묻기 어렵지만
속절없이 원망하는 그대 마음 모를 리야 있겠는가
먼 이역에 가 있네 그래도 새로 사귄 사람 없지
한 마음이기를 원하네 그러면서 길게 탄식하네
이 때 홀로 규중으로부터 탄식소리 들리니
이 밤 아름다운 눈동자에 눈물 고이는 것 그 누가 알리
생각하고 또 생각하네 마음은 이미 그대에 젖어 있는데
또 들리누나 괴로운 이 마음
차라리 잠들어 꿈속에서 소리 찾아 가고 싶은데
다만 근심으로 잠 못드누나


⑵ 봉화기조신공영설시 (奉和紀朝臣公詠雪詩)
昨夜龍雲上    어제 밤하늘에 용구름 피어 오르더니
今朝鶴雪新    오늘 아침엔 새하얀 눈이 내렸구나
怪看花發樹    나무마다 피어난 새하얀 눈꽃 신기하고
不聽鳥驚春    봄을 알리는 새의 노래 소리 들리지 않네
廻影疑神女    춤추며 휘도는 모습은 신녀의 자태 같기도 하고
高歌似郢人    드높은 노랫소리는 빼어난 가객의 솜씨로다
幽蘭難可繼    그윽한 난초와 같은 그대 도저히 따를 수 없으니
更欲效而嚬    다시금 흉내라도 내려 애쓰네




②왕효렴(王孝廉)
발해 희왕 때의 인물이다. 814년 사신이 되어 일본으로 가서 국서를 전하고 돌아오던 도중 병으로 죽었는데, 이를 안타까이 여긴 일본왕은 그에게 정3위의 벼슬을 내렸으며, 일본에서 친분을 맺은 승려 구카이[空海]는 그를 조상하는 시를 지어 애도를 표하였다.
그는 일본에서 5개의 시를 남겼는데, 각각 '봉칙배내연'(奉勅陪內宴), '춘일대우득정자'(春日對雨得情字), '재변정부득산화희기양개영객사병자삼'(在邊亭賦得山花戱寄兩箇領客使幷滋三), '화판령객대월사향견증지작'(和坂領客對月思鄕見贈之作), '종출운주서정기양개칙사'(從出雲州書情寄兩箇勅使)​으로 이 중 3편은 일본의 한시집 중 하나인『문화수려집(文華秀麗集)』에 실려있다.

⑴ 봉칙배내연 (奉勅陪內宴)
海國內朝自遠方    바다나라 먼 곳에서 찾아와
百年一醉謁天裳    성은에 취하여 임금을 뵈도다
日宮座外何攸見    일궁 보좌 주위에 무엇이 보이는가
五色雲飛萬歲光    오색 구름 피어올라 만세 영광 기리도다


⑵ 춘일대우득정자 (春日對雨得情字)
主人開宴在邊廳    주인이 변청에서 잔치를 여니
客醉如泥等上京    상경에서처럼 심히 취하였네
疑是雨師知聖意    아마 우사(雨師)도 성의를 안 듯
甘滋芳潤灑羈情    단비가 촉촉이 내려 나그네 마음 적시네


⑶ 재변정부득산화희기양개영객사병자삼 (在邊亭賦得山花戱寄兩箇領客使幷滋三)
芳樹春色色甚明    꽃나무에 봄빛 곱게 감도니
初開似笑聽無聲    갓 피어 소리 없이 웃는구나
主人每日專攀盡    주인장은 날마나 꽃 꺾느라 정신 없으니
殘片何時贈客情    나그네에게 줄 꽃잎 남아 있을런지


⑷ 화판령객대월사향견증지작 (和坂領客對月思鄕見贈之作)
寂寂朱明夜    쓸쓸하고 쓸쓸하구나 달 밝은 밤이여
團團白月侖    둥글고 둥글도다 흰 달의 테두리여
幾山明影徹    몇 산에나 밝은 모습 드리웠는지
萬象水天新    온갖 모습이 물과 하늘에서 새롭구나
棄妻看生恨    버림받은 여자가 바라보면 한탄이 생기고,
羈情對動神    나그네 심정으로 마주하니 신명이 움직인다
誰云千里隔    누가 일렀던가, 보름달은 천 리 밖
能照兩鄕人    두 고장 사람을 다 비추어준다고


⑸ 종출운주서정기양개칙사 (從出雲州書情寄兩箇勅使)
南風海路連歸思    바닷길에 부는 남풍에 고향 생각 부쳐볼까
北雁長天引旅情    북쪽 기러기는 하늘에서 나그네 시름 이끄는데
賴有鏘鏘雙鳳伴    다행히도 두분 칙사 나를 이처럼 위로하시니
莫추多日住邊亭    시름은 없네, 이 변정에 오래 있어도




③석인정(釋仁貞)
발해 희왕 때의 승려이다. 814년 녹사(錄事)의 신분으로 왕효렴과 함께 일본으로 건너가 시를 남겼다.
석인정이 지은 '칠일금중배연'(七日禁中陪宴)​은 일본의 한시집 중 하나인『문화수려집(文華秀麗集)』에 실려있다.

⑴ 칠일금중배연 (七日禁中陪宴)
入朝貴國塹下客    귀국에 입조하여 하객을 부끄러워하니
七日承因作上賓    이레의 은혜를 받아 상빈이 되었도다
更見鳳聲無妓能    다시금 봉황소리에 고상한 모습 뵈오니
風流燮動一園春    풍류가 움직이는 한 나라의 봄이로다




④석정소(釋貞素)
발해 희왕 때의 승려이다. 813년에 당나라에 유학하던 중 자신의 스승 응공(應公)과의 인연으로 응공의 스승인 레이센(靈仙和尙)을 만나 교류하게 된다. 석정소는 레이센이 번역한 새로운 경전 2부와 고칙(조서와 칙서)5통 등을 일본 천황에게 전하고 828년에 돌아왔는데, 레이센은 이미 죽고 없었다. 레이센의 죽음을 슬퍼한 석정소는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哭日本國內供奉大德靈仙和尙詩 幷序'(곡일본국내공봉대덕령선화상시 병서)​라는 글을 남겼다. 이후 840년 일본인 승려 엔닌(圓仁)이 석정소의 글을 보고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에 그 내용을 필사하게 된다.


⑴ 곡일본국내공봉대덕령선화상시 병서 (哭日本國內供奉大德靈仙和尙詩 幷序)
哭日本國內供奉大德霊仙和尙詩 幷序. 渤海國僧貞素.
起余者謂之應公矣. 公仆而習之隨師至浮桑. 小而大之介立見乎緇林. 余亦身期降物負笈來宗覇業. 元和八年窮秋之景逆旅相逢, 一言道合論之以心. 素至扵周恤校勘小子非其可乎. 居諸未幾早向鴒校勘原. 鶺鴿之至足痛乃心. 此仙大師是我應公之師父也, 妙理先契示于元元. 長慶校勘二年入室五䑓每以身猒青瘀之器, 不將心聼白猿之啼. 長慶五年日夲大王遠賜百金達至長安. 小子轉領金書送到䥫懃仙大師領金訖. 将一万粒舎利新經兩部·造勑五通㝳囑附小子, “請到日夲答謝國㤙.”小子便許. 一諾之言豈惮万里重波淂. 遂鍾无外緣期乎遠大. 臨迴之日又附百金. 以大校勘 和二年四月七日却到霊境寺求訪仙大師亡來日久. 泣校勘我之血崩我之痛. 便泛四重溟渤, 視死若㱕, 連五同行李如食之頃者.
則應公之原交所致焉. 吾信始而復終.願霊凢兮. 表悉空留澗水嗚咽千秋之聲, 仍以雲松惆悵万里之行, 四月蓂落加校勘一首途望京之耳. 不校勘塵心淚自涓. 情因法眼奄幽泉, 明朝儻問校勘滄波客, 的說遺鞋白足還.

일본국 내공봉대덕(日本國內供奉大德) 영선화상(靈仙和尙)을 곡(哭)하는 시와 서(序)
발해국 승려 정소

나를 깨우쳐준 분은 응공(應公)이라 말할 수 있다. 공은 몸을 낮추어 불법을 배워 스승을 따라 부상(扶桑)에 이르렀다. 어렸으나 이미 남달라 승려들 사이에서 홀로 우뚝 빼어났다. 나 또한 승려 되기를 기약하고 책 보따리를 매고 와서 패업(霸業)을 우러렀다. 원화 8년 늦가을 즈음에 여사(旅舍)에서 만나 한마디 말로 도(道)가 서로 합치되어 마음으로 그것을 논하였다. 내가 대성하게 된 것은 소자(小子)에게 그 어떤 장점이 있어서가 아니다. 세월이 아직 얼마 되지도 않았는데 일찍이 할미새가 사는 들로 가게 되었다. 할미새가 살 장소를 잃어버리는 심상치 않은 상태에서 도움을 주지 못하고 그대 마음을 아프게 한 것이 참으로 한스러울 뿐이다.
이 영선대사는 나의 스승 응공의 사부로, 불법의 묘미를 먼저 깨달아 중생에게 나타내보였다. 장경(長慶) 2년에 오대산에 입실하여 매번 육신을 부정(不淨)한 것이라 꺼려하고 마음으로는 흰 원숭이의 울음소리를 듣지 않았다. 장경 5년에 일본 대왕이 멀리서 백금을 하사하여 멀리 장안에 이르렀다. 소자는 금과 서신을 전해 받아 철륵난야(鐵懃蘭若)까지 가지고 가서 전달했다. 영선대사는 금을 받고서 1만 개의 사리, 새로 번역한 경전 2부, 조칙(造勅) 5통 등을 가지고 와 소자에게 맡기며 “청하건대 일본에 가서 나라의 은혜에 감사하는 마음을 답하라.”고 하였다. 소자는 곧 승낙하였다. 한번 승낙한 말이니 어찌 만 리의 거친 파도인들 두려워하겠는가? 마침내 모든 인연의 도움을 모아 원대한 목적을 기약할 수 있었다. 돌아오는 날에 임박하여 또 금 100냥을 부쳤다. 태화(太和) 2년 4월 7일에 영경사(靈境寺)에 돌아와 영선대사를 찾았으나 세상을 떠난 지 오래되었다. 나는 피눈물을 흘리고 비통함이 산이 무너지는 듯했다. 문득 네 번이나 큰 바다를 건넌 것은 마치 죽음으로 돌아가는 것으로 보았고, 연이어 다섯 번이나 여행을 함께 한 것은 밥 먹는 시간처럼 짧게 여겨진다.
이러한 인연은 곧 스승인 응공과의 오랜 교분의 소치였기 때문이다. 나는 처음의 약속을 믿어 끝내 응답하였다.
바라옵건대 영혼이시여. 계곡물에 천추(千秋)를 오열하는 소리를 머물게 하고 구름 위로 솟은 소나무처럼 긴 세월 동안 탄식한다면, 4월 명(蓂) 한 잎 떨어지고 또 한 잎이 떨어질 때 길을 떠나 경성을 바라보는 날에 만물이 모름지기 다 공(空)이라는 것을 나타내십시오.

속세의 헛된 마음 어떻게 할 것인가
눈물만이 스스로 흘러내린다
인정은 법안(法眼)으로 황천을 감싸고
후일 만약 창파를 건너온 객이 누구냐고 묻는다면 명백히 말하라
짚신을 남겨두고 맨발로 돌아갔다고




작성자 미상
⑴ 정혜공주묘명문 (貞惠公主墓銘文)
위대하고 빛나는 업적을 세운 조상들은 천하를 통일하였고, 상주는 것을 분명히 하고 벌내리는 것은 신중히 하여 그 인정(仁政)이 사방에 미쳤다. 부왕(父王)에 이르러서는 만수무강하여 삼황오제와 짝하였고 주의 성왕(成王), 강왕(康王)을 포괄하였다. 생각컨대 공주가 태어나매 어려서부터 진실로 아름다왔고, 비상하게 총명하고 슬기로와 널리 듣고 높이 보았다. 궁궐의 모범이 되었고 동궁(東宮)의 누나가 되셨으니, 옥같은 얼굴은 무궁화만이 비길 수 있었다. 한강(漢江) 신녀(神女)의 영기(靈氣)를 품고 고당(高唐) 신녀(神女)의 정기를 이었으며, 고운 자태를 지니고 부덕(婦德)의 가르침 속에 자랐다. 군자에게 시집가서 유순하기로 이름났으며, 원앙새가 짝을 이루듯 하였고 봉황새가 울음에 화답하듯 하였다. 남편이 일찍 죽어 유명(幽明)을 달리 하니, 한 쌍의 난조(鸞鳥)가 홀연히 등을 돌린 듯하였고 쌍검이 영원히 떨어져 있는 듯하였다. 순결과 정절에 돈독하여 역사책에 기록하고 그림으로 남길 만하며, 부덕(婦德)을 행함에 정조가 있고 아름다왔다. 사랑 노래를 부끄러워하고 수절시를 즐기시며, 크게 어질고 근심으로 즐거워하지 않는 중에 세월이 어느듯 빨리 지나 공주도 세상을 하직하였다. 장례가 이미 끝나 상여가 돌아갈 때, 공주의 혼은 하늘로 돌아가고 사람들은 집으로 되돌아오니 뿔피리 소리 구슬프고 호드기 소리 처량하다. 강가의 깎아지른 산 옆에 자리잡으니, 묘광(墓壙)은 언제 광명을 볼 것이며 봉분은 언제까지 갈 것인가. 고목이 무성하고 들판에 연기가 자욱한데, 무덤 문을 갑자기 닫으니 처량한 감정이 홀연히 쌓이는구나.
보력(寶曆) 7년 11월 24일.

⑵ 정효공주묘명문 (貞孝公主墓銘文)
不顯烈祖     불현(不顯)하신 열조께서
功等一匡     천하를 통일하였고,
明賞愼罰     상벌을 밝혀 신중히 하시니
奄有四方     엄정함[奄]이 사방에 미쳤도다.
爰及君父     군부(君父)에 이르러서는
壽考無疆     만수무강하시어
對越三五     삼황오제[三五]와 짝하였고
囊括成康     성왕과 강왕[成康]을 포괄하시니

惟主之生     공주께서 태어나실 때를 생각하니
幼而洵美     어려서부터 참으로 아름다웠고
聰慧非常     총명하고 슬기로움이 비상하시어
博聞高視     널리 듣고 높이 보셨다네.
北禁羽儀     궁궐[北禁]의 모범 되시고
東宮之姉     동궁(東宮)의 누나 되시니
如玉之顏     옥같은 그 얼굴
蕣華可比     무궁화만이 비겼다네.

漢上之靈     한강 신녀[漢上]의 영기(靈氣)를 품고
高唐之精     고당 신녀[高唐]의 정기를 이었으며,
婉之熊      고운 자태 지니시고
閫訓玆成     현성(玆成) 속에 자랐다.
嬪于君子     군자에게 시집가
柔順顯名     유순하기로 이름났으며
鴛鴦成對     원앙새가 짝을 이루고
鳳凰和鳴     봉황새가 울음에 화답하듯 하였다.

所天早化     하늘이 일찍 변화한 바
幽明殊途     유명(幽明)을 달리 하시니
雙鸞忽背     한 쌍의 난조(鸞鳥)가 홀연히 등을 돌리고
兩劍永孤     쌍검이 영원히 떨어져버렸다.
篤於潔信     순결과 정절에 돈독하여
載史應圖     역사책에 기록하고 그림으로 남길 만하며,
惟德之行     부덕을 행함에
居貞且都     정조가 있고 아름다왔다.

愧桑中詠     음란한[桑中] 노래를 부끄러워 하고
愛栢舟詩     수절의 시를 즐겨하였으며,
玄仁匪悅     크게 어질고 근심으로 즐거워하지 않는 중에
白駒疾辭     빛깔이 흰 망아지가 빠르게 질주하매
奠殯已畢     존빈(奠殯)도 세상을 하직하였다.
卽還靈轜     장례가 이미 끝나 상여가 돌아갈 때,
魂歸人逝     혼도 사람들도 모두 돌아가니
角咽笳悲     뿔피리 소리 구슬프고 호드기 소리 처량하다.

河水之畔     강물의 가장자리
斷山之邊     단산(斷山)의 옆에서
夜臺何曉     묘광[夜臺]은 언제 광명을 볼 것이며
荒隴幾年     봉분[荒隴]은 언제까지 갈 것인가.
森森古樹     빽빽한 고목들과
蒼蒼野煙     연기 자욱한 들판을 보며
泉扃俄閟     무덤 문을 갑자기 닫으니
空積悽然     처량한 감정 불현듯 쌓이네.

출처:http://cafe.naver.com/booheong/1478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